새로운 기술을 공부하다 보면 이런 의문이 생긴다.
나는 제대로 공부하고 있는 건가?
개발공부는 혼자 배우는 일이 많다.
그래서 피드백을 받기 힘들다.
특히 군대처럼 상명위복 구조에서 내 방식에 대해서 옳다 틀리다 판단해줄 내 업무를 미리 경험해본 선배가 없을 가능성이 많다.
그럼 어떻게 척도를 판단할 수 있을까?
지금 시대는 무인도에 떨어져서 생존하는 (그러나 유투브, 책의 도움이 있는)
"자신을 돌봐줄 사람은 자신밖에 없다."
그래서 자기자신을 객관화 하고 인지할 수 있는 메타인지 훈련이 필요하다.
메타인지를 통해 내 자신을 객관화 했다 치면 그걸 뭐랑 비교하냐
그 비교대상을 특정 기술, 프레임워크가 아닌 Sofrtware 를 잘 하는 존재가 있어야 한다.
예를들어 SwiftUI를 배우고 있다. 그런데 나는 이전 UIKit을 잘한다.
그럼 UIKit을 잘 하는 내 자신과 객관적으로 비교하는 것 이다.
하지만 이때 UIKit 을 본질까지 꿰뚫고 있어야 그 존재가 버팀목이 되어줄 수 있다.
껍데기만 알면 안되는 것 이다.
좋은 성과는 얼마나 문제에 대한 본질에 가까워져 있는가 에서 나온다.
그럼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.
지금 일하기도 바쁜데 언제 본질까지 공부하고 앉아있냐?
이러한 공부 과정은 일과 떨어져 있으면 의미가 없다.
문제 하나하나에 대해서 해결하는 과정 중 끝까지 파봐야 한다는 것이다.
그럼으로써 그 문제에 국한된 경험일 수 있지만 문제를 해결하는 일반적인 시야 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 이다.
(그리고 면접때 이러한 얘기를 심도있게 전달 할 수 있어야 한다.)
얼마나 엔지니어적으로 근성과 깊이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인 셈이다.
하지만 무조건 깊이, 오래 파본다고 좋은건 아니다.
본인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는데 어떻게 해결했고 푸는 과정중 한 뎁스씩 들어갈 때 마다 그 깊이에서의 중요한 것, 흥미로운것 에 대한
스스로의 가치 판단이 있어야 한다.
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
- 문제 파악
- 해결하려는 노력 (가지판단과 끝까지 파보는 엔지니어적 마인드)
- 더 좋은 방법은 없는지
- 누군가에게 이 과정을 잘 전달할 수 있는지 (스토리 텔링)
이 중요한 셈이다.
결론적으로 어떤 기술을 공부할 때 개발자 명심보감을 정리해 보자면
- 기술에 대한 지식, 학습 과정을 본인을 객관화 해라 (메타인지)
- 객관화한 자신을 자신이 본질까지 아는 다른 기술에 대한 본인과 비교해라
- 그러기 위해선 최소 하나이상의 본질까지 아는 기술이 필요하다.
- 좋은 성과는 문제에 대한 본질에 얼마나 가까운지에서 결정된다.
- 일과 문제해결은 동일선상에 있어야 한다.
- 문제를 해결할 땐 끝까지 파보도록 해야한다. (엔지니어적 마인드)
- 끝까지 파보는 와중에도 그것이 중요한 건지 가치판단을 해야한다.
- 누군가에게 이 과정을 잘 전달할 수 있으면 좋다.
만약 이 과정을 통달하고 본인의 성장도 하며 팀으로써도 성장을 한다면 더 좋지 아니한가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S-Power Apps 예시앱 (excel 을 DB로 쓴다고?) (5) | 2020.11.15 |
---|---|
GraphQL? better than REST? (0) | 2020.11.02 |
네이버 iOS 인턴 & 자취 시작 (0) | 2020.10.12 |
어느새 1000커밋, 어느새 10000 방문자 (0) | 2020.09.22 |
토이 프로젝트 앱 출시! (2) | 2020.09.15 |
댓글